한국민족문화대백과(1991)에 의하면 교육성립은 교육이 이뤄지게 하는 힘이며 선·후천적 힘으로 구성된다. 교육성립의 선천적 힘은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으며 환경을 통해 자발적·창조적 가능성이 드러나고 개발돼 자기 발전을 도모하는 힘이다. 교육성립의 후천적 힘은 성숙자인 양친·교사·선배 등이 이미 계획된 목표와 방향에 따라 미성숙자들을 이끌거나 어떤 목표나 방향의 가능성에 장애가 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다. 이 두 힘 즉, 선천적 및 후천적 힘이 상호작용함으로써 교육은 성립된다.한국 교육에서 교육의 선천적 힘은 제한적으로 작용하지
지식은 어떤 대상에 대해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를 의미한다. 역량(competence)은 어떤 직무나 상황에서 뛰어난 수행을 유발하는 개인의 내적 특성이며, 지식의 활용을 포함한다. 그러나 지식이 곧 역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학업성적이 우수한 모든 사람이 업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오늘날 대부분 국가는 역량을 지식과 별개로 가르치기보다는 ‘함께’ 지식을 ‘통해서’ 발현되도록 하는 지식·역량의 통합교육을 추구한다.한국은 지식과 역량교육에서 모두 만족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이경환(2017)은 저서 ‘창의·인성과 기업가능력 개발’에서 인성5역량은 창의, 정서지능, 가치화, 자유의지와 자기정화 역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능력이이라고 했다. 예로써 창의역량은 창의적 행동 특성을 유발하는 자아 정체성을 만들어 낸다. 인성역량에 기반 한 자아 정체성을 개인적 또는 인성적 자아 정체성이라고 하며, 인성적 인적역량 형성을 주도하고, 완전자아실현으로 이끈다. 예로써 창의역량은 창의적 인적역량을 형성하고 완전자아실현으로 이끈다.5역량은 각각 고유한 근원적 인성역량으로 구성되며, 그
Rogers(1961)는 저서 ‘인격형성’에서 인간의 내면에는 자신의 본질적 특성을 실현하고 잠재적 가능성을 획득하게 하는 선천적 경향성이 내재하며, 이러한 경향성을 자아실현 경향성(self-actualizing tendency)라고 한다. Maslow(1971)는 저서 ‘동기부여와 인격’에서 자아실현의 경향성은 최선의 사람으로 나아가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며, 유전의 범위 내에서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을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따라서 인간은 모두 자아실현을 위한 선천적 경향성이나 능력이 있다.이경환(2017)은 저
자아 정체성은 개인의 본질이고 핵이며, 자신의 본질을 깨닫게 하고 본질 구현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하며,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정체성으로 구성된다. 사회적 자아 정체성은 후천적 학습으로 형성되며, 개인의 사회적 역할에 관계한다. 개인적 자아 정체성은 자아실현 경향성을 기반으로 형성되며 이상적 자아로 성장하고, 사회적 자아 정체성과 조화로움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정체성은 각각 개인의 인성적 및 사회적 인격에 관계한다.전인격(whole personalty)은 인성적 및 사회적 인격 즉, 개인의 개인적 및 사회
재능(talent)은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재주와 능력으로서 소질, 자질, 경향성, 기량, 기능, 끼, 역량 등의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며,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구분된다. 후천적 재능은 훈련이나 노력으로 획득된 것이다. 예로써 위키백과에 의하면 각종 전문직 면허 및 자격증 또는 학위 등을 타고난 사람은 없으며, 이런 것들은 어느 정도는 후천적 재능에 해당한다. Weiberg(1999)는 저서 ‘창의성’에서 특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만 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다고 한다. 1만 시간은 하루 3시간씩 1
인간의 심리적, 사회적 및 정신적 발달은 자아 정체성과 인지능력에 관계하며, 이들은 발달단계를 거친다. 예로써 Erikson(1968)은 저서 ‘어린 시기와 사회’에서 인간의 심리사회적 및 정신적 발달은 자아 정체성 발달에 관계하며, 발달단계를 나이에 따라 8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따라 자아 정체성의 발달 수준이나 내용이 다르다고 한다. 또한 그는 사람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해주거나 억압하는 사회적 요인조정을 위해 자아가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단계를 나이별로 구분하였으나 그 시기가 고정된 것은 아니고 개인에 따라 조금
목적은 추구하고자 하는 행동의 가치이며, 가치는 최종 및 도구적 가치로 구분된다. 최종가치는 달성코자 하는 목적이나 최종상태이다. 도구적 가치는 목적 달성 수단이며, 목적 달성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이다. 홍익인간 즉, 전인격의 완전자아실현의 인재는 우리나라 교육이념이므로 한국 교육의 최종가치이며 목적이다. 따라서 공교육 내용은 한국 교육의 최종목적인 전인격의 완전자아실현의 인재 양성을 위한 최종가치와 수단 즉, 도구적 가치를 포함해야 한다.완전기능학습 자생기반, 인성5역량 면역증감 효과 기반 및 자아 정체성 수단-목적의 연쇄
일이 관리순환 즉, 계획-실행-평가 내에 있을 때 우리는 지속적 개선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계획은 목적과 목적달성의 수단으로 구성되며, 실행은 수단에 기반한 계획의 실행을 의미된다. 평가는 실행 결과에 대한 측정을 포함한다. 본 칼럼에서는 지식과 역량 교육의 통합 계획-실행-평가에 이르는 교육의 관리순환 중에 교육 계획 즉, 교육목적과 목적달성 수단을 제시해 교육개혁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목적은 추구하고자 하는 행동의 가치이며, 도구적 및 최종가치로 구분된다. 최종가치는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최종상태이다. 도구적 가치
Kirzner(1973)는 저서 ‘경쟁과 기업가 정신’에서 경쟁력은 경쟁에 기반이 되는 능력이나 수단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David(2007)은 저서 ‘전략경영’에서 경쟁우위는 경쟁자보다 큰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한다. 가치가 있다는 것은 욕구를 유발하고, 욕구가 있다는 것은 가치를 만들어 낸다.교육 적합성(the relevance of education)은 교육내용이 교육수요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에 관계하며, 개인과 사회적 적합성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교육내용이 교육 참여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것이며
교육성립은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 선·후천적 힘이며, 전자는 자발적·창조적 가능성이 드러나고 개발되어 자기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며, 후자는 성숙자인 양친·교사·선배 등이 미성숙자들을 기계획된 목표나 방향으로 이끌어 내는 힘이다.자아 정체성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정체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자신의 본질 구현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한다. 이것을 위해 이들은 각각 자율적으로 지식과 기술 등을 탐구하고 인적역량 형성을 주도한다. 또한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정체성은 각각 선천적인 자아실현 경향성과 후천적 학습으로 형성되므로 이들은
교육성립은 교육을 이루어지게 하는 힘이며 선·후천적 힘으로 구성된다.교육성립의 선천적 힘은 자발적·창조적 가능성이 드러나고 개발돼 자기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며, 후천적 힘은 계획된 목표와 방향으로 학습자들을 이끌어 내는 힘이다.교육심리학용어사전(2001)에서 인지는 지식을 획득하고 사용하는 방식에 관한 능력이다. 인지능력은 선천적인 파워5속성 즉, 창조, 보존, 결합, 지배 및 귀속속성에 관계하므로 이들의 작용패턴은 인지구조로서 지식을 담는 그릇 역할을 한다. 또한 파워5속성의 능률적 또는 동시다발적 작용은 개인을 완전기능인지나 메
한국민족문화대백과(1991)에 의하면 교육성립은 교육에 작용하여 교육을 이루어지게 하는 힘이며 선·후천적 힘으로 구성된다. 교육성립의 선천적 힘은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환경을 통해 자발적·창조적 가능성이 드러나고 개발되어 자기 발전을 도모하는 것에 관계한다. 후천적 힘은 성숙자인 양친·교사·선배 등이 이미 계획된 목표와 방향에 따라 미성숙자들을 이끌거나 어떤 목표나 방향의 가능성에 장애가 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다.인간은 선천적으로 인성5역량 즉, 창의, 정서지능, 가치화, 자유의지 및 자기정화 역량이 내재하며, 이
이주호 등(2005)은 연구서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 조성 방안’에서 역대 정부는 교육문제점 개선을 위해 교육개혁 위원회를 대통령직속으로 두고 교육개혁을 추진해 왔다고 한다. 교육개혁에서 학점은행과 학교운영위원회가 도입되었고, 중학교의무교육 확대와 유아교육 공교육화 등의 재정지원 등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 같은 교육개혁의 방향은 정권이 바뀌어도 대체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은 거의 진전이 없다고 한다. 은 역대정부의 교육개혁 주요 내용이다. 국가의 교육시스템은 교육의 하드웨어와 소프
Hodge 등(2002)은 저서 ‘조직이론’에서 목적은 이루고자 하는 바람직한 미래의 상태라고 한다. Anshoff(1965)는 저서 ‘기업전략’에서 목적을 추구하고자 하는 행동의 가치라고 정의한다. Barnad (1938)는 저서 ‘최고경영자의 기능’에서 목적은 참가자들을 위한 동기부여와 동일화의 원천이며, 성과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고 한다. 따라서 교육목적은 교육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미래이며, 가치를 반영하고 교육 참가자들에게 교육동기를 부여하고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기준의 기반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교육의 바람직한
Kinicki 등(2009)은 저서 ‘조직행동’에서 자아 정체성은 사람의 의식적 존재의 핵이라고 한다. Rogers(1961)는 저서 ‘인격형성’에서 자아는 우리의 행동, 감정이나 생각에 영향을 미치며, 성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예로써 우리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질 경우 낙관적이거나 건설적으로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한다. 그러나 부정적인 자아개념은 비관적이거나 파괴적으로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한다.자아 정체성은 과 같이 행동의 일관성과 주체성을 유발하며, 비전을 만들어 내고, 공동체구현에 기여하며, 인적역량 형성을
OECD(2005)에서는 역량을 지식, 기술과 개인의 태도, 가치, 동기 등의 심리사회 적 자원을 이용해 특정 맥락의 복잡한 요구에 대처하는 능력이라고 설명한다. 김필성( 2019)은 논문 ‘고등교육에서의 OECD 교육 2030에 토대한 인성역량 강화 방안의 시론적 탐색’에서 역량은 지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매우 복합적인 상황속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 Spencer 등(1993)은 저서 ‘사회학 원론’에서 지식과 기술은 외적 수행으로 이어지는 가시적인 역량이나 동기, 특질, 자아개념은 비가시
Rogers(1961)는 저서 ‘인격 형성’에서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가 조화로운 인간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며, 이것은 자아실현 경향성에 기인한다고 한다. Maslow(1971)는 저서 ‘동기부여와 인격’에서 자아실현 경향성은 인간 성장을 위한 내재적 동기를 부여한다고 한다.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의 조화로움은 전인격의 완전자아실현으로 이끈다. 따라서 자아실현 경향성은 인간 성장의 내재적 동기유발과 전인격의 완전자아실현으로 이끈다. 자아실현 경향성의 이러한 능력의 원천은 무엇인가?지난 칼럼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자아실현 경향성은 창
이경환(2017)의 저서 ‘창의·인성과 기업가적 능력개발’에서 인성5역량(창의, 정서지능, 가치화, 자유의지 및 자기정화 역량)에 의해서 형성된 자아 정체성 즉, 개인적 자아 정체성은 개인의 인성적 인격이며, 주도적 역할을 통해 지적특성(예; 전문지식, 경험, 기량 등)과 상호작용으로 각각 자신의 고유한 인적역량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예로써 창의역량에 기반 한 자아 정체성은 창의적 생각이나 행동을 주도적으로 유발하고 개인의 지적특성과 상호작용으로 창의적 인적역량을 형성한다. 정서지능 역량에 기반 한 자아 정체성은 주도적으로 지적특
교육의 핵심과제는 학습자의 교육에 대한 개인적 및 사회적 욕구나 가치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며, 이들은 각각 교육의 개인적 적합성과 사회적 적합성에 관계한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점은 개인적 및 사회적 적합성이 매우 낮은데 있다. 이로 인해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을 불신하고, 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불만족하며, 교사들은 사기가 떨어져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며,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율과 학교폭력은 증가하고 있다.이성현(2006)은 논문 ‘한국사회 사교육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교사들의 75.6%, 학